
최근 금리가 인상되고 있고 경기침체가 예상되는 가운데 위험자산인 주식과 코인보다 안정적인 자산으로 몰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중에 오늘은 정기예금 금리를 은행별로 비교해보겠습니다.
금액과 기간을 미리 정해두자
우선 금리를 알아보기 전에 예금의 특성을 알아두는 게 좋습니다. 일단은 목돈을 한번 넣어두면 기간이 끝나기 전에는 중도에 추가납입이 불가합니다. 예를 들어서 1천만 원을 1년이라는 기간을 선택해서 예탁을 해두었다면 만기 이전에 중도에 계좌를 해지해야지 돈을 찾을 수가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얼마의 금액을 어느 정도 시간 동안 넣어둘지를미리 선택하는 게 1차적으로 필요합니다. 너무 무리하게 넣거나 부족하게 하나의 통장에 몽땅 밀어 넣기보다는 2~3개 정도로 분리를 해두는 분산 형식의 작업을 하는 것도 좋아 보입니다.
제1금융권
정기예금 금리비교를 해볼 텐데 우선 가장 많이들 선호를 하시고 평상시에 이용하고 있는 일반은행을 알아보겠습니다.
▶검색 검색창에 예금이라고만 입력을 하셔도 현재 판매가 되고 있는 상품들의 리스트가 등장을 합니다.
- 전북은행 123 예금 3.80%
- 우리 종합금융 3.80%
- 기업은행 복리채 3.78%
1천만 원을 넣었다면 약 38만 원 정도의 이자를 받을 수가 있고 한 달로 계산을 해보면 31,000원 의 수익이 발생합니다.
몇 년 전 저금리 시절과 비교를 해보면 대략 2~3배 정도가 증가를 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이곳에서는 이율, 기간, 저축금액, 우대조건, 은행 등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를 고르실 수가 있어서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검색- 마이뱅크
여기는 저축하고자 하는 금액과 기간을 입력하면 실질적으로 받게 되는 이자까지도 체크를 해볼 수가 있습니다.
- 산업은행 3.60%
- 신한은행 3.25%
- 국민은행 3.20%

여기서 하나 알 수 있는 것은 각 사이트들마다 등장하는 상품들이 다르며 이율도 차이가 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이것은 특판의 여부나 업데이트가 되는 시간 등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에 여러 군데를 정기예금 금리비교를 해보아야 하는 이유가 됩니다. 평균적으로 보면 3% 이상은 받을 수가 있습니다.
제2 금융권(저축은행)
▶검색
- HB저축은행 3.75%
- 동원 제일 3.75%
- 융창 저축은행 3.70%

어떻게 보면 이제는 1,2 금융권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아서 굳이 다른 곳으로 본인의 목돈을 이동시켜서 통장을 만들 이 이유가 사라져 가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두 곳이 대략 1~2% 정도의 차이를 보이면서 조금 더 많은 금리를 얻기 위해서는 저축은행을 이용했어야 했지만 이제는 역전을 해버린 모습입니다.
▶마이뱅크 새마을금고/신협
궁금해하시는 분들도 계실 것 같아서 오늘자를 기준으로 판매되고 있는 것을 찾아봤습니다. 새마을금고의 경우는 평균 3.80% 이상을 모두 보이고 있으며 신협은 3.6% 정도는 무난하게 받을 수가 있겠습니다.
하루마다 변동사항이 생길 수가 있으며 지역마다 다른 이율을 제시하므로 가입하시기 전에 다시 한번 검색을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정기예금 추천
재테크를 처음 시작하는 초보자 분들이거나 본인만의 노하우를 가지고 있는 중수에서 고수분들까지도 정기예금은 기본적으로 가지고 가야 합니다. 은행이라는 곳에서 판매하는 상품이기 때문에 안전성이 우수하며 별다른 과정이나 특별한 조건 없이도 원금에 대한 이자를 지급을 받을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경제지식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기전세주택(공공 임대아파트 입주조건) (0) | 2022.08.17 |
---|---|
신용카드 결제일 변경 (1) | 2022.08.17 |
모바일 운전면허증 발급후기 (0) | 2022.08.16 |
자녀에게 증여하기 (0) | 2022.08.16 |
2022년 가족돌봄휴가 지원금 (0) | 2022.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