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준비자금(미리 알아보자) - 시작과 지속
반응형

노후준비자금

1인 가구가 늘고, 평균 수명이 늘어나며 사람들은 아이를 낳지 않습니다. 30-40대는 지금 한창 벌어야 집도 없고 자녀들의 교육도 시켜야 하며 들어가는 비용은 천문학적인데 어떻게 노후준비를 시작해야 할지 막막해하는 게 대부분입니다.

 

한정되어 있는 월급을 가지고 당장에 써야하는 소비를 포함해서 여러 가지 저축생활을 하며 거기에 소액으로 분류를 해서 노후자금까지 만들어야 한다니 인생의 난이도가 계속해서 올라가는 기분입니다.

하지만 이것을 하지 않는다면 남들은 은퇴를 해서 유유자적 즐겁고 편안한 생활을 누리고 있을 때 소일거리라도 찾아서 하러 나가야 한다는 현실을 마주할지도 모릅니다.

 

물론 요즘은 60세가 넘더라도 할수있는 일들도 많아지고 임금도 나쁘지 않은 편이어서 먹고사는데 지장은 없겠지만 평생 동안을 일만을 하다가 또 일을 해야 하기 때문에 걱정을 할 수밖에 없는 것이죠.

그래서 어느정도의 비용이 필요하고 들어가는지도 미리 계산을 해서 자신의 인생계획을 다시금 세워볼 필요도 있습니다.

 

한 달에 280만 원

쉽게 계산을 해보면 1인에게 들어가는 노후 생활비는 대략 140만 원 정도이며 1년이면 대략적으로 1700만 원 정도입니다. 10년으로 계산할 시 1억 7천만 원 정도로 크게 부담되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정말 아무것도 하지 않고 온전하게 나에게만 쓴다고 가정을 하고 있기 때문에 갑작스럽게 몸이 아프거나 경조사비나 목돈이 들어갈 일이 생긴다면 훨씬 더 올라가게 되겠죠.

평균이라는 것은 많은 소비를 하는 분들과 아주 작은 소비를 하는 분들이 포함되어 있어서 갭의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이점 또한 알아두시고 2인 가구의 노후생활비는 10년에 3억 4천만 원 정도가 필요하게 되겠네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가장 쉽고 간단한 과정이라고 하면 더 많은 돈을 벌어서 더 많이 모으는것이 정답입니다. 각종 연금이나 펀드 재테크의 경우에는 뒤로 미루어둘 문제이고 계속해서 쉬지않고 본인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을 위해서 노력을 해서 더많이 차곡차곡 쌓아두어야지 조금 더 안락한 삶에 가까워질 수가 있는 것이죠.

여기에서 할 수 있는 것이 위에 언급을 드린 재테크들을 활용을 하면서 조금 더 빠르게 자산을 모으고 불려 나갈 수가 있는 것일 뿐 아무런 소득이 없는 상태로는 전혀 플랜을 짤 수가 없게 됩니다.

 

언제부터 시작해야 할까?

노후준비자금을 모으기 위해서는 노후대책을 되도록 빨리 수립하고 40대가 되어서는 본격적으로 모아가는게 좋습니다. 급여도 어느 정도 높아지고 사회적으로도 자리를 잡아서 안정감도 얻었을 때 여러 가지 저축이나 재테크 방법들을 이용을 하시면서 향후 20년 정도를 계속해서 잘 관리하고 모아가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우리 모두 노후준비 잘해서 행복하고 걱정 없는 노후 맞이합시다.

 

노후준비자금노후준비자금노후준비자금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